AWS( Amazon Web Services)는 아마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. 이번 시간에는 AWS 서버스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버(RDS)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
※참고로 AWS 서버스는 RDS 말고도 EC2, S3, SES 등 수많은 서비스가 있습니다.
- RDS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: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, MySQL, PostgreSQL, Oracle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합니다.
- EC2 (Elastic Compute Cloud): 가상 서버를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 ▶ AWS EC2 서버 만들기
- S3 (Simple Storage Service):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.
- SES: 이메일을 손쉽게 발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.
1. AWS 콘솔(https://aws.amazon.com/ko/console/)에 접속하고 로그인 합니다.
2. 좌측 상단 '검색'란에 'RDS'를 입력해서 RDS 서비스로 진입합니다.
3. '데이터베이스' 메뉴를 클릭합니다.
4. '데이터베이스 생성'을 클릭합니다.
5. MySQL을 생성합니다.
6. MySQL Workbench를 이용해서 RDS에 접속합니다.
- Connection Name: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구분할 수 있는 이름으로 입력합니다.(본인이 정하면 됩니다.)
- Hostname: AWS에서 복사한 RDB 엔드포인트를 붙여 넣습니다.
- Username: AWS에서 생성한 RDB의 계정을 입력합니다.
7. RDS 계정을 확인합니다.
이번 시간에는 AWS에 RDS 서버를 만들었습니다. RDS도 다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사용지 않는 인스턴스는 중지 또는 삭제해야 불필요한 과금을 막을 수 있습니다.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S3에 파일 업로드, 다운로드, 삭제하기(feat. spring boot) (1) | 2024.12.18 |
---|---|
S3를 이용한 이미지 서버 만들기 (3) | 2024.12.17 |
AWS RDS MySQL을 사용할 때 외부 IP 접근을 설정하는 방법과 차이점 (0) | 2024.12.01 |
putty를 이용해서 AWS EC2에 접속하기 (0) | 2024.11.25 |
AWS EC2 서버 만들기 (1) | 2024.1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