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으로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파이썬 쉘(shell) 또는 IDLE 코드 편집기를 이용하면 됩니다. 물론 보다 전문적인 VSCode 코딩툴도 있는데요, VSCode는 다음 글에서 살펴 보기로 하겠습니다.
1. 파이썬 쉘(shell)
1-1. 윈도우 검색에 'python'을 입력하고 'Python 3.13 (64-bit)'를 클릭해서 파이썬 쉘을 실행합니다.
1-2. print('hello python')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실행 결과로 hello python 문자열이 출력됩니다.
※ print()는 python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내장 함수 입니다.
이와 같이 쉘 모드는 컴퓨터와 내가 채팅하듯이 코딩하는 방식으로, 화면에 코딩하고 결과를 바로 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.
2. 파이썬 IDLE
2-1. 윈도우 검색에 'python'을 입력하고 'IDLE (Python 3.13 64-bit)'를 클릭해서 파이썬IDLE를 실행합니다.
2-2. File > New File을 이용해서 새로운 파일을 open 합니다.
2-3. IDLE은 쉘과 달리 코딩한 내용을 파일로 저장한 후 실행합니다. 새로운 파일에 print(‘Hello’)를 코딩합니다.
2-4.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[F5]를 누르고,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저장해야 된다는 창이 뜨면 [확인]을 클릭합니다.
2-5. 적당한 곳에 파일을 저장합니다. 파일 확장자는. py입니다.
2-6. 파일이 저장된 후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'hello python'이 출력됐습니다.
IDLE는 파일을 저장한 후 [F5]를 눌러 실행하는데요, 파일을 저장하는 부분이 쉘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쉘은 테스트와 같이 주로 간단한 코드를 실행할 때 사용하고, IDLE는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것과 같이 파일을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. 하지만 실제로 파이썬을 코딩할 때는 쉘과 IDLE보다는 VSCode라는 편리하고 전문적인 코딩툴을 이용합니다. 다음 시간에는 VSCode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5장] 연산자 (0) | 2024.11.27 |
---|---|
VSCode 폰트 크기 및 테마 변경 (0) | 2024.11.26 |
[4장] 데이터와 변수 (0) | 2024.11.26 |
[3장] VSCode 설치 및 기본 설정 (0) | 2024.11.24 |
[1장] 파이썬 설치 (1) | 2024.1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