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

[Git] 03. 저장소(Local Repository)에 저장하기

hoazzinews 2025. 6. 7. 08:07
반응형

Git 저장소에 파일을 저장한다는 것은 단순히 '파일을 복사해 넣는다'는 의미가 아니라, Git이 그 파일의 변경 이력(history)을 스냅샷(snapshot)처럼 기록해서 관리한다는 뜻입니다.

 

Git 저장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.

1. 작업 디렉토리(Working Directory)

    - 파일을 만들거나 수정하는 공간입니다.

2.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

    - git add 명령어로 어떤 파일을 Git에 저장할지 선택한 상태입니다.

    - '이 파일을 저장할 거야!' 하고 Git에 알려주는 단계입니다.

3. 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

    - git commit 명령어로 실제로 저장되는 단계입니다.
    - Git은 이 시점의 파일 상태를 스냅샷(버전)으로 저장합니다.

 

1. 작업 디렉토리(프로젝트)에 파일 생성 및 텍스트 입력

 

2. Git Bash 실행

 

3. 작업 디렉터리 상태 확인

$ git status

 

4.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에 올리기

$ git add doc.txt

$ git status

 

5.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기

$ git commit -m "첫 번째 작업 완료!"

$ git status

 

6. 새로운 작업 추가

 

7. 작업 디렉터리 상태 확인

$ git status

 

8.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에 올리기

$ git add doc.txt

$ git status

 

[참고] 스테이징에 올라간 파일 되돌리기
$ git restore --staged doc.txt

9.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기

$ git commit -m "두 번째 작업 완료!"

$ git status

 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06. master에서 temp-branch로 이동하기  (0) 2025.06.07
[Git] 05. detached HEAD  (0) 2025.06.07
[Git] 04. 다른 커밋으로 이동하기  (0) 2025.06.07
[Git] 02. 로컬 저장소 만들기  (0) 2025.06.07
[Git] 01. Git 설치 방법  (0) 2025.06.07